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다다미 넉장 반
- 위기
- 신해철
- 늑대아이
- 모리미
- 유아사 마사아키
- 노이타미나
- 상황과인식
- 안노
- 디알무비
- 현주소
- 섬머워즈
- 호소다
- 너의 이름은
- 신카이
- 시간을달리는소녀
- 재패니메이션
- 다다미 넉장 반 세계일주
- 일본애니메이션
- 그대에게
- 극장판
- copyleft
- 인간실격
- 둘리
- 임경원
- 매드하우스
- 다자이 오사무
- 다다미
- 쿄토
- 애니메이션
- Today
- Total
목록애니메이션 (7)
damducky`s

이 인터뷰는 2002년 당시 서울무비에서 인터뷰 했습니다 출처: https://damducky.tistory.com/2?category=364216 [damducky`s:티스토리] 2시간에 걸친 인터뷰 전문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 Q. 90년대 이후 나온 극장판, TV판 애니메이션 봤을때 가장 완성도 있고 흥행도 성공도 가 장 성공했던 게 무엇인가 생각해보니깐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이더라고요 생각해 보 니깐 둘리라는 작품은 많이 알려졌고 흥행도 됐는데 감독님에 대한 조망은 없어가지고 그 래서..
우리 회사 사장 twitter 다다미 넉장 반 세계일주 일본 미디어 예술제 애니메이션 부문 대상수상!!!!!!!!!!! 정말이지 1년 동안 같이 고생한 스텝여러분 수고하셨어요!!!!
왜? 일본 애니메이터들은 냄새가 날까? 물론 이말로 일본에서 일하는 애니메이터들을 일반화 시키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 여름 그리고 겨울,봄과 가을 일년 365일 몸에서 머리에서 입에서 냄새를 풍풍 풍기면서 생활하는 애니메이터들이 있다. 선진국이라고 자부하는 일본에서 왜? 한국에서 맡아볼수없었던 구수한 오징어 꼬랑내가 나는 것일까? 물론 답은 나와있다. 안 씻어서!!! 아니다! [못 씻어서!!!] 다 예전에도 쓴 글이 있지만 일본애니메이터들 특히 프리랜서로 일하는 대다수의 신입 동화 원화 연출등은 일본정부가 정해놓은 최저임금 16만엔에 턱없이 부족한 금액을 받고 한달한달 일을 한다. 동화가 되어 받는 첫 월급 10만엔 넘지를 못한다.- 그것도 회사에서 2,3만엔정도의 보조금이 나왔을 경우다. 신입원..
지난번에 살짝 제작 라인 프로세서에 대해서 말을 했었다. 소위 말하는 작붕이 일어나는 이유를 시스템적으로 알아 보았고 오늘은 그럼 짧은 스케쥴에서 그림을 그리며 살아가는 애니메이터들의 생활을 소개해 보려고 한다. -말해 두지만, 난 애니메이터는 아니다. 연출을,감독을 하고 싶어 진행부터 시작해 현재 설정담당을 하고 있고 일본의 한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일을 하고 있다. 일본애니메이션 회사는 대부분 매년 4월부터 8월까지 모집에 들어간다. 필요한 서류는 1.이력서 2.과제 레포트 (A4용지 1,2매정도) 입사 지원동기 좋아하는 작품 자기 PR 3.작품 최근 그린 그림 10매이내 학교에서 과제로 그린것은 불가 작품의 형태는 불문 이렇게 서류를 보내고 나면 회사에서 총작감,감독,프로듀서들이 모여 심사를 한다. ..
▶시스템과 스케쥴 여기서 이야기하는 시스템과 스케쥴은 기획단계를 제외한 철저히 제작단계의 시스템과 스케쥴을 말한다. 기획단계,즉 작품의 선별과 제작위원회를 만들고 방영을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일에서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단순하게 작품선정을 예를 들면 일 본에서도 꽤 이름이 알려진 회사인 덕에 굳이 기획서를 내지 않아도 출판사로부터 의뢰가 꽤 많이 들어오는 편으로 알고 있다. 그 기획안 중에 대표프로듀서가 작품을 선별 라인프로듀서에게 제작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프로듀서에게 들은 적이 있다. 참고로 , 기획을 담당하는 기획프로듀서, 영업을 담당하는 영업프로듀서, 제작을 담당하는 라인프로듀서 크게는 3가지 분류의 프로듀서가 존재한다. 그중에 흔히 애니메이션회사에 입사했다고 하는 것..
이 글은 철저히 개인적인 주관과 뜬소문을 기초로해서 현재 일본애니메이션시스템의 위기(?)에 대해 내 나름 살 길을생각해 보고자 함이니 읽기 싫다!!! 그럼 안 읽으셔도^^ ▶신세대가 없다!!! 위에도 언급했듯이 철저하게 개인적인 소감이다. 젊은 피가 상당히 부족하다. 이번에 끝난작품(아직방영전)에 투입된 원화맨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80년대,90년대부터 활동했던 분들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신인(원화 5년차내)으로 참여했던 분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1/3정도다. 단순히 이번작품만의 경우인가? 를 생각해보면 우리회사 현재 원화맨 인원구성을 살펴보면 70,80년대부터 시작하신 분들이 반정도차지한다고 해도 거짓말이 아닐정도로 회사내에서 그분들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그만큼 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말..
이 글은 철저히 개인적인 주관과 뜬소문을 기초로해서 현재 일본애니메이션시스템의 위기(?)에 대해 내 나름 살 길을생각해 보고자 함이니 읽기 싫다!!! 그럼 안 읽으셔도^^ 1.일본애니메이션은 위기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내 위에 선배들보다는 내가 월급이 올라가는 폭이 적어졌다는 거다. 1년위라고 해봤자 경력상은 비슷하나 일본에서 늦게 시작했다는 이유로..ㅠ.ㅠ 같은 기간을 놓고 볼때 내 1년위녀석들은(나이가 전부 어리니 존칭따위는 생략해주마!!!!) 그 기간의 내 월급에 비해 적어도 1,2만엔 더 받았다는 말이다. 회사가 월급을 인상폭을 줄이기로 했다는 말이다. 즉, 긴축 재정에 들언갔다는 말이다. G회사! 말하지마라... 작년에 거진 1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을 정리해고하고 (정리해고당한사람중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