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임경원
- 매드하우스
- 애니메이션
- 다자이 오사무
- 디알무비
- 신카이
- 모리미
- 극장판
- 일본애니메이션
- 섬머워즈
- 현주소
- 노이타미나
- 재패니메이션
- 다다미
- 쿄토
- 상황과인식
- 너의 이름은
- 다다미 넉장 반 세계일주
- 다다미 넉장 반
- 둘리
- copyleft
- 인간실격
- 그대에게
- 안노
- 늑대아이
- 유아사 마사아키
- 위기
- 호소다
- 시간을달리는소녀
- 신해철
Archives
- Today
- Total
damducky`s
일본애니메이션의 현주소 _ 2 본문
이 글은 철저히 개인적인 주관과
뜬소문을 기초로해서
현재 일본애니메이션시스템의 위기(?)에 대해
내 나름 살 길을생각해 보고자 함이니
읽기 싫다!!!
뜬소문을 기초로해서
현재 일본애니메이션시스템의 위기(?)에 대해
내 나름 살 길을생각해 보고자 함이니
읽기 싫다!!!
그럼 안 읽으셔도^^
▶신세대가 없다!!!
위에도 언급했듯이 철저하게 개인적인 소감이다.
젊은 피가 상당히 부족하다.
이번에 끝난작품(아직방영전)에 투입된 원화맨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80년대,90년대부터 활동했던 분들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신인(원화 5년차내)으로 참여했던 분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1/3정도다.
단순히 이번작품만의 경우인가?
를 생각해보면 우리회사 현재 원화맨 인원구성을 살펴보면
70,80년대부터 시작하신 분들이 반정도차지한다고 해도 거짓말이 아닐정도로
회사내에서 그분들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그만큼 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말도 되겠지만
역으로 생각해 보면 그만큼 치고 올라오는 신인들이 적다는 말일수도 있다.
일본애니메이션에 젊은 피들이 들어오는 경로를 살펴보자
1,애니메이션전문학원출신
2,애니메이션관련학과출신
3,미대 출신
4,그외(고졸,타학과,영화관련학과...등등)
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1번으로 애니메이션 전문학원출신생들이 굉장히 많이 들어온다.
동화를 거쳐 원화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굉장히 힘들다.
쉽게 말하면 생활을 지속해 나가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한국에 비하면 동화단가가 비싸다고 해도 물가를 생각하면 거기서 거기다.
동화한장 기준으로 220엔부터 250엔
왠만해서는 테레비 씨리즈에서 300엔받기 힘들다.
극장판 350정도다. 작품에 따라서는 500엔까지 가는 작품들도 있지만
굉장히 싼편이다.
이렇게 애니메이션의 청운의 꿈을 안고 들어온 젊은인재들이
한달에 10만엔정도...
그정도의 돈으로 방세를 내어가면 하루에 기본 12시간이상의 노동을 한다.
진행으로 들어온 사람들은 그나마 월급적인 면에서 동화부터 시작한 사람보다는 괜찮다.
일적인면이야 힘들고 안힘든건 상대적인거니 이야기하지않겠다.
(군대도 마찬가지아닌가..쉬운군생활 어디있나.자기부대가 전부 빡센거 처럼)
그렇게 장시간 노동을 하고 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업계의 특성상
실력이 있는 사람들 중에는 애니메이션보다는 게임쪽으로 흘러가는 사람도 더러 있다.
여기에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생활고의 압박과 노동시간의 압박으로 동화,원화,진행,설정등...
이 업계의 밑바닥이라고 할수있는 사람들 중에는 결혼해서 가정을 꾸려나가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적어도 작감,프로듀서급되어야 시간의 여유는 없지만
경제적안정으로 인해(그렇다고해도 타 업종보다는 여유롭지 못하다.) 그나마 결혼생활을 시작할수있다.
이렇듯 이중의 어려움속에 애니메이션에서의 꿈을 접고 떠나는 젊은 피들이 많다.
신세대가 없다.
또 하나의 큰 이유는 후학을 양성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회사에서 서류전형과 면접 , 실기시험을 치고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개인사업자이다.
즉, 말좋게 말하면 프리랜서
회사와의 고용관계는 처음부터 성립하지않는다.
고용이 불안하다는 말이다.-이것은 한국의 애니메이터들도 마찬가지지만
독고다이 다.
에반겔리온 이후 10년넘은 히트작의 부재
경기 불화의 심화
투자자본의 감소에 의한 작품수의 감소
등등
젊은 피가 들어와 일어설수 있을 때까지의
업계전체적인 사회적 기반이 약하다.
개인의 능력만을 보고 위태위태하게 걸어가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업계
사회적시스템의 전환없이는 늙어가는 위대한 세대의 발목만 잡고 늘어질 뿐이다.
여기,일본애니메이터와 연출협회 JAnica 를 소개하면서
다음은, 일본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에 지극히 개인적으로 설명해보겠다.

위에도 언급했듯이 철저하게 개인적인 소감이다.
젊은 피가 상당히 부족하다.
이번에 끝난작품(아직방영전)에 투입된 원화맨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80년대,90년대부터 활동했던 분들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다.
신인(원화 5년차내)으로 참여했던 분들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1/3정도다.
단순히 이번작품만의 경우인가?
를 생각해보면 우리회사 현재 원화맨 인원구성을 살펴보면
70,80년대부터 시작하신 분들이 반정도차지한다고 해도 거짓말이 아닐정도로
회사내에서 그분들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높다.
그만큼 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말도 되겠지만
역으로 생각해 보면 그만큼 치고 올라오는 신인들이 적다는 말일수도 있다.
일본애니메이션에 젊은 피들이 들어오는 경로를 살펴보자
1,애니메이션전문학원출신
2,애니메이션관련학과출신
3,미대 출신
4,그외(고졸,타학과,영화관련학과...등등)
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1번으로 애니메이션 전문학원출신생들이 굉장히 많이 들어온다.
동화를 거쳐 원화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이 굉장히 힘들다.
쉽게 말하면 생활을 지속해 나가기가 힘들다는 말이다.
한국에 비하면 동화단가가 비싸다고 해도 물가를 생각하면 거기서 거기다.
동화한장 기준으로 220엔부터 250엔
왠만해서는 테레비 씨리즈에서 300엔받기 힘들다.
극장판 350정도다. 작품에 따라서는 500엔까지 가는 작품들도 있지만
굉장히 싼편이다.
이렇게 애니메이션의 청운의 꿈을 안고 들어온 젊은인재들이
한달에 10만엔정도...
그정도의 돈으로 방세를 내어가면 하루에 기본 12시간이상의 노동을 한다.
진행으로 들어온 사람들은 그나마 월급적인 면에서 동화부터 시작한 사람보다는 괜찮다.
일적인면이야 힘들고 안힘든건 상대적인거니 이야기하지않겠다.
(군대도 마찬가지아닌가..쉬운군생활 어디있나.자기부대가 전부 빡센거 처럼)
그렇게 장시간 노동을 하고 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업계의 특성상
실력이 있는 사람들 중에는 애니메이션보다는 게임쪽으로 흘러가는 사람도 더러 있다.
여기에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생활고의 압박과 노동시간의 압박으로 동화,원화,진행,설정등...
이 업계의 밑바닥이라고 할수있는 사람들 중에는 결혼해서 가정을 꾸려나가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적어도 작감,프로듀서급되어야 시간의 여유는 없지만
경제적안정으로 인해(그렇다고해도 타 업종보다는 여유롭지 못하다.) 그나마 결혼생활을 시작할수있다.
이렇듯 이중의 어려움속에 애니메이션에서의 꿈을 접고 떠나는 젊은 피들이 많다.
신세대가 없다.
또 하나의 큰 이유는 후학을 양성하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회사에서 서류전형과 면접 , 실기시험을 치고 들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개인사업자이다.
즉, 말좋게 말하면 프리랜서
회사와의 고용관계는 처음부터 성립하지않는다.
고용이 불안하다는 말이다.-이것은 한국의 애니메이터들도 마찬가지지만
독고다이 다.
에반겔리온 이후 10년넘은 히트작의 부재
경기 불화의 심화
투자자본의 감소에 의한 작품수의 감소
등등
젊은 피가 들어와 일어설수 있을 때까지의
업계전체적인 사회적 기반이 약하다.
개인의 능력만을 보고 위태위태하게 걸어가는 일본의 애니메이션 업계
사회적시스템의 전환없이는 늙어가는 위대한 세대의 발목만 잡고 늘어질 뿐이다.
여기,일본애니메이터와 연출협회 JAnica 를 소개하면서
다음은, 일본애니메이션 제작 시스템에 지극히 개인적으로 설명해보겠다.

'애니메이션_アニメーション'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本のアニメ業界で労働組合を作ろうとしたら (1) | 2010.09.29 |
---|---|
일본애니메이션의 현주소 _ 4 (0) | 2010.09.29 |
일본애니메이션의 현주소 _ 3 (0) | 2010.09.29 |
일본애니메니션의 현주소 _ 1 (0) | 2010.09.29 |
한국 애니 다시보기 - 아기공룡둘리 임경원감독 (0) | 2010.09.29 |